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1

리버싱) 리버싱의 기초_1 더보기 취약점 진단을 하고 싶은 건지, 모의해킹을 하고 싶은 건지, 리버싱을 하고 싶은 건지 나도 잘 모르겠다.ㅎㅎ 그냥 다 해보는 수밖에......맞나 몰라이씨......그래도 블로그에 꾸준히 누가 들어온다 적어도 8명씩은ㅋㅋㅋ 영국에서도 오던데 뭘 보고 오는 거지 신기하다. 리버싱을 올려도 관심이 있으려나 모르겠네..각설하고 본론 시작~ 틀린 정보 지적 언제나 환영합니다~ 1. 리버스 엔지니어링 Reverse Engineering. 역공학 시스템 등의 구조, 기능, 동작 등을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 2. 리버스 코드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분야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 리버싱 3. 리버싱 방법 - 정적분석 파일의 겉모습을 관찰, 정적 분석 단계에서는 파일을 실행하지 않음, 내부 코드와 그 구조를 확인하는 .. 2020. 12. 11.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취약한 패스워드 변경 시도 패스워드 변경 과정에서 발생 개발자의 실수로 불필요한 로그를 남겨 패스워드를 노출하는 취약점 중요 정보 및 민감정보가 대량으로 노출되는 취약점이 존재 취약점 진단 과정 정상적으로 로그인 후 비밀번호 변경 클릭 P@ssw0rd로 변경 시도, 일단 여기서 비밀번호 평문 노출되는 취약점 발견 비밀번호 변경 성공 확인 서버에서도 비밀번호 평문으로 확인 가능 암호화와 관련한 로직이 없어서 생기는 문제로 중요 정보는 노출되지 않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 취약점 대응 방안 암호화가 되지 않은 형태로 저장하는 것은 인증 우회가 가능하므로 주의 필요 높은 수준의 암호화 알고리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저장소나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해야 함 2020. 12. 3.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개발자 백도어 정상적인 프로그램에 자신만이 들어갈 수 있는 코드를 삽입 해 정당한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 방법 개발자의 백도어가 공격자에게 발견되면 시스템에 위험을 초래함 취약점 진단 과정 로그인 페이지 보면 devadmin 로그인 가능 /devlogin으로 넘어가는 것 확인 가능 로그인 성공 화면 확인 가능 취약점 대응 방법 정상적인 로그인 로직만 남겨두기 2020. 12. 3.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사용자 정보 목록화 이슈 사용자 계정 목록화 : 시스템의 어떠한 인증 체계에 취약점이 존재하여 공격자가 시스템에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 목록을획득할 수 있는 취약점 공격자가 무차별 대입 공격 시도 시 로그인을 하지 않더라도 시스템에 존재하는 계정들을 파악할 수 있음 입력한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로그인 에러 메시지 분석 가능 잘못된 암호를 입력했습니다. -> 비밀번호 복구 시 오류 메시지 분석, 회원 가입 시 오류 메시지 분석 가능 사용자 계정 목록화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면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공격 수행 가능 취약점 진단 과정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관련 메시지를 분석해야 함 첫 번째 시도 : 존재하지 않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 계정의 존재 유무를 알려줌 두 번.. 2020. 12. 3.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하드코딩 보안 하드코딩 : 객체를 사용하지 않고는 코드를 재사용할 수 없도록 코드 안에 어떤 의미를 갖는 변수를 상수로 사용하거나 코드를 다시 컴파일하지 않고서는 바꿀 수 없는 형태로 코딩하는 것을 말함 중요 정보를 주석으로 명시하거나 노출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음 네이티브 코드로 작성하더라도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충분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주용한 정보는 하드코딩 안하는 것이 중요 취약점 진단 과정 코드 내부에 하드코딩된 퓌약점이 존재하면 원인 제거가 매우 어려움 인시큐어뱅크의 주석처리된 곳을 알아보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 불가 실습 불가 취약점 대응 방안 주석 처리에 주의를 기울리기 암호화키의 경우 절대 상수로 명시하면 안 되며 솔트를 사용하여 암호화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 고정된 값이나 특정한 값을.. 2020. 12. 2.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인자 전달값 조작 사용자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입력할 때 입력되는 파라미터값이 보호되지 않으면 공격자가 사용자의 입력값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정해 악용 가능 palameter manipulation은 파라미터 조작 취약점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청하는 값을 중간에서 가로챈 후 매개변수값을 변조하여 전송 본래의 요청값이 변조된 값으로 수정되고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요청이라면 정보 유출의 위험이 존재 1. 취약점 진단 과정 설정은 지난 포스팅에 적어 놨으니 그거 보고 참고 transfer 페이지에서 값 입력 후 버프스위트 확인하면 평문 전송되는 것 확인 가능 버프스위트에서 결제 금액인 마지막 값을 수정하여 forward 버튼 누르면 변경된 값이 입력될 것임 실제 입금된 돈은 18181818이지만 기록엔.. 2020. 12. 2.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안전하지 않은 HTTP 통신 HTTP : 인터넷을 이용해 문서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80번 포트 사용, 안드로이드에서도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사용, 설계 시 보안을 고려하지 않아 평문으로 전송, 스티핑과 스푸핑 공격을 이용해 패킷 정보에서 탈취 가능 취약점 진단 과정 두 가지 방법 존재 : 프록시 서버에서 확인하는 방법, 네트워프 패킷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프록시 서버에서 확인하는 이유는 서버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정보를 상세히 확인하기 위해서임, 세팅 필요 Setting Network & internet Wi-Fi 해당 와이파이 선택 수정 Proxy 설정 변경 프록시 서버로 사용할 IP 주소(로컬PC IP)와 포트를 입력 버프스위츠 설정 변경 Proxy > Options > .. 2020. 11. 30.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안전하지 않은 SD카드 저장소 애플리케이션이 SD 카드 저장소에 중요한 정보나 파일을 저장하여 발생하는 취약점 안드로이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크게 내부 저장소와 외부 저장소로 나눌 수 있음 내부와 외부는 공간별로 접근 가능한 권한과 역할이 다름 내부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시스템 등에서 사용된는 공간으로 안드로이드 API에 의해 권한이 통제 외부는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고 WRITE_EXTERNAL_STORAGE 권한을 갖고 ldT는 에플리케이션은 설정에 따라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이 가능 디렉터리 중 앱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획득할 수 있는 곳은 /data/data/앱이름 dlek. 취약점 진단 과정 안드로이드의 내/외부에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발생하는 취약점은 외부 저장소에는 어떤 정보이든 서비스에 중요한.. 2020. 11. 26.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런타임 조작 앱이 실행되는 도중 메모리상에 악의적인 행동을 하는 취약점 취약점 진단 과정 디버깅 포트 찾기 adb jdwp insecurebank 실행 전 insecurebank 실행 후 인시큐어뱅크 어플 실행 후 디버깅 포트 2508이 새로 생긴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새로 생긴 포트가 인시큐어뱅크 디버깅 포트임 이 포트는 매번 변경되기 때문에 그때그때 확인 필요 adb를 통해 디버깅 포트를 로컬 포트로 포트포워딩해준 후 jdb 명령어를 통해 로컬 디버깅 포트로 연결해줘야함 근데 한번에 될리가 없지 없다 나왔으니 확인 필요 멍청인가 명령어 제대로 안씀 컴포넌트 취약점과 런타임 조작을 통해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하기 실습 진행~~ 로그인 하지 않고 패스워드 변경 위해서는 ChangePas.. 2020. 11. 26.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스템 보안_3_윈도우 서버 보안 윈도우 서버 보안 파트에서는 빠진 내용 엄청 많아요. 이것만 보시면 안돼요.아무도 신경쓰지 않겠지만 혹시나 싶어서ㅎ,,,ㅎ 씨이발 제가 파일 정리해서 올리려고 했거든요 근데 날라감 지송 나도 빡쳐서 공부하다가 접음 윈도우서버보안윈도우 파일 시스템FAT16 : 2GB까지 한 파티션으로 설정 가능, 이는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담는 최소 단위인 클러스터가 32KB이기 때문FAT32 : 호환성이 좋음, 리눅스나 다른 운영체제에 정보를 옮길 때 유용, 접근제어 설정 불가, 보안 없음NTFS : 파일 시스템의 결함 관리에 있어 좋음, 보안 훌륭, 개별 폴더와 파일에 사용 권한 설정 가능, 암호화되면 파일 이동이나 복사 해도 속성 변화 없음- 구조 : MBR | VBR | MFT | 시스템파일 | 파일영역윈도우 부팅 .. 2020. 11. 4.